스토리를 여는 열쇠
열기카드는 개념어의 나열이 아니라 정교한 통사적 변용을 통해 내적 외적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삶의 언어이다. 그러므로 기존 질서의 권력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역할방정식을 대변해주고 있다. 자신과 타인의 역할 속성에 근거하여 조건화된 삶의 방식은 자신과의 단절을 불러왔다. 이해되지 않은 채 의식 속에서 배제된 기억의 파편들이 그 이유일 것이다. 이야기하는 시간과 이야기 되는 시간 사이의 접점은 자기 돌봄의 실제적 현장이다. 스토리는 금기시되었던 선택들이 펼쳐지는 공간을 열어두고 그 속에서 억압되었던 의식을 투사하게 하며 경험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지원한다. 이는 주관적으로 느끼는 현실의 장벽이 차단하고 있는 행위 가능성에 대한 체험을 도와준다. 주체와 반(反)주체의 대립과 담합, 지배와 복종, 화해와 균형이 은유와 상징을 매개로 체험될 수 있다. 스토리는 인식과 해석을 확장함으로써 행위를 발전시키는 토대를 제공한다. 따라서 자유롭고 창의적인 의미구조를 엮는 도구로서의 열기카드는 배제되었던 내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새로운 의식 차원과 관계 모형으로 나아가는 통로를 열어주는 열쇠이다.
<이소인문상담가 김성연>
NO. | 제 목 | 글쓴이 |
---|---|---|
27 | 창조적 경험 세계는 어떻게 가능한가? (열기카드 이론적배경 3) | 이소 |
26 | 이유없이 나를 찌르는 그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열기카드 이론적배경2) | 이소 |
25 | 왜 그림자 작업을 해야 하는가? (열기카드 이론적배경 1) | 이소 |
24 | 열기카드-그림자 작업의 필요성 | 이소 |
23 | Yayo Flautas | 이소 |
22 | 열기카드 이론적 배경4 | 이소 |
21 | 열기카드 이론적 배경3 | 이소 |
20 | 열기카드 이론적 배경2 | 이소 |
▶ | 열기카드의 이론적 배경1 | 이소 |
18 | 자아학 l`egologie | 이소 |
17 | I AMness | 이소 |
16 | Robert Walser 로베르트 발저 | 이소 |
15 | 나의 푼크툼 | 이소 |
14 | Surrender! | 이소 |
13 | `빈처`의 세 가지 뜻 | 이소 |